치아 구조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소인치과 댓글 0건 조회 736회 작성일 19-04-17 16:15본문
치아는 치관과 치근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치관은 우리가 눈으로 보이는 하얗고 단단한 부분이며, 치근은 흔히 치아 뿌리라고 불리 우고 잇몸에 파묻혀 있는 부분을 말합니다.
가장 바깥 층 법랑질
치아를 덮고 있는 가장 바깥층으로 반짝이고 하얀 우리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입니다. 씹을 때 생기는 압력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충치를 일으키는 세균과 산의 침입을 막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법람질에는 신경이 없어 충치가 발생하여도 통증이 없으며 상아질을 보호하는 유백색 반투명 조직입니다.
잇몸=치은
치은은 흔히 ‘잇몸’이라 하며 치아 주위에 위치한 치조골을 둘러싸고 있는 연조직으로 연한 분홍색을 띱니다. 치은은 뼈를 보호하는 기능으로 잘 못 관리하면 치근을 노출시켜 치아에 큰 손상을 초래하므로 양치질을 할 때 잇몸도 같이 닦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아질
상아질은 법랑질 아래에 위치하며 치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직으로 법랑질보다는 약하고 뼈보다는 단단한 조직입니다. 또한 상아질은 미세한 구멍을 많이 가지고 있고, 신경과 혈관을 둘러 싸고 있는 조직으로 법랑질의 손상이 일어나 상아질이 들어나게 되면 세균의 공격을 받고 이가 시리게 되는 것입니다.
치아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치수
치수는 신경과 혈관이 들어오는 곳으로 치아가 감각을 느끼고, 치아가 성숙할 때까지 영양공급을 해주며, 이차상아질을 형성하는 곳입니다. 만약에 충치가 생기면 치통이 발생하는 곳으로 신경치료로 치수를 제거하여 치아를 되살릴 수 있습니다.
치아지지대인 치주인대
치조골과 치아의 백악질을 연결하는 인대로 치아를 지지해주고, 치아의 충격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여기에는 여러 종류의 세포들이 있어 치주염증으로 인하여 파괴된 치주조직의 재생에 큰 역할을 합니다.
치아를 둘러 싸고 있는 뼈~치조골
치조골은 치아를 둘러 싸고 있는 뼈로 치아를 지지해 주고 음식을 씹어 먹을 수 있게 해 주는 곳입니다. 만약에 치주질환으로 치조골이 약하거나 손상을 받게 되면 치아가 흔들리고 빼질 수 있습니다.
치아 뿌리 상아질을 감싸고 있는 백악질
치아의 뿌리 부분의 상아질을 감싸고 있는 부분으로 치주인대를 이용한 치조골과의 연결에 관여하게 됩니다.
가장 바깥 층 법랑질
치아를 덮고 있는 가장 바깥층으로 반짝이고 하얀 우리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입니다. 씹을 때 생기는 압력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충치를 일으키는 세균과 산의 침입을 막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법람질에는 신경이 없어 충치가 발생하여도 통증이 없으며 상아질을 보호하는 유백색 반투명 조직입니다.
잇몸=치은
치은은 흔히 ‘잇몸’이라 하며 치아 주위에 위치한 치조골을 둘러싸고 있는 연조직으로 연한 분홍색을 띱니다. 치은은 뼈를 보호하는 기능으로 잘 못 관리하면 치근을 노출시켜 치아에 큰 손상을 초래하므로 양치질을 할 때 잇몸도 같이 닦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아질
상아질은 법랑질 아래에 위치하며 치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직으로 법랑질보다는 약하고 뼈보다는 단단한 조직입니다. 또한 상아질은 미세한 구멍을 많이 가지고 있고, 신경과 혈관을 둘러 싸고 있는 조직으로 법랑질의 손상이 일어나 상아질이 들어나게 되면 세균의 공격을 받고 이가 시리게 되는 것입니다.
치아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치수
치수는 신경과 혈관이 들어오는 곳으로 치아가 감각을 느끼고, 치아가 성숙할 때까지 영양공급을 해주며, 이차상아질을 형성하는 곳입니다. 만약에 충치가 생기면 치통이 발생하는 곳으로 신경치료로 치수를 제거하여 치아를 되살릴 수 있습니다.
치아지지대인 치주인대
치조골과 치아의 백악질을 연결하는 인대로 치아를 지지해주고, 치아의 충격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여기에는 여러 종류의 세포들이 있어 치주염증으로 인하여 파괴된 치주조직의 재생에 큰 역할을 합니다.
치아를 둘러 싸고 있는 뼈~치조골
치조골은 치아를 둘러 싸고 있는 뼈로 치아를 지지해 주고 음식을 씹어 먹을 수 있게 해 주는 곳입니다. 만약에 치주질환으로 치조골이 약하거나 손상을 받게 되면 치아가 흔들리고 빼질 수 있습니다.
치아 뿌리 상아질을 감싸고 있는 백악질
치아의 뿌리 부분의 상아질을 감싸고 있는 부분으로 치주인대를 이용한 치조골과의 연결에 관여하게 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